mirror of
https://github.com/pcottle/learnGitBranching.git
synced 2025-07-13 08:04:27 +02:00
translated detachedHead.js in korean
This commit is contained in:
parent
a04629fc54
commit
68a21ca703
1 changed files with 82 additions and 2 deletions
|
@ -11,7 +11,8 @@ exports.level = {
|
||||||
"zh_TW": "分離 HEAD",
|
"zh_TW": "分離 HEAD",
|
||||||
"de_DE": "Den Kopf abtrennen",
|
"de_DE": "Den Kopf abtrennen",
|
||||||
"ja" : "HEADの分離",
|
"ja" : "HEADの分離",
|
||||||
"ru_RU": "Теряем \"голову\" или detached HEAD"
|
"ru_RU": "Теряем \"голову\" или detached HEAD",
|
||||||
|
"ko" : "HEAD 분리하기"
|
||||||
},
|
},
|
||||||
"hint": {
|
"hint": {
|
||||||
"en_US": "Use the label (hash) on the commit for help!",
|
"en_US": "Use the label (hash) on the commit for help!",
|
||||||
|
@ -22,7 +23,8 @@ exports.level = {
|
||||||
"fr_FR": "Utiiser le label (identifiant) du commit pour aider !",
|
"fr_FR": "Utiiser le label (identifiant) du commit pour aider !",
|
||||||
"zh_TW": "使用 commit 上的標籤(hash)來幫助你!",
|
"zh_TW": "使用 commit 上的標籤(hash)來幫助你!",
|
||||||
"zh_CN": "使用提交记录上的标签(hash)来求助!",
|
"zh_CN": "使用提交记录上的标签(hash)来求助!",
|
||||||
"ru_RU": "Ориентируйся по идентификаторам (hash) коммитов."
|
"ru_RU": "Ориентируйся по идентификаторам (hash) коммитов.",
|
||||||
|
"ko" : "커밋에 있는 라벨(hash)을 활용하세요!"
|
||||||
},
|
},
|
||||||
"startDialog": {
|
"startDialog": {
|
||||||
"en_US": {
|
"en_US": {
|
||||||
|
@ -718,6 +720,84 @@ exports.level = {
|
||||||
}
|
}
|
||||||
}
|
}
|
||||||
]
|
]
|
||||||
|
},
|
||||||
|
"ko": {
|
||||||
|
"childViews": [
|
||||||
|
{
|
||||||
|
"type": "ModalAlert",
|
||||||
|
"options": {
|
||||||
|
"markdowns": [
|
||||||
|
"## Git에서 여기저기로 옮겨다니기",
|
||||||
|
"",
|
||||||
|
"Git의 고급기능들에 대해 더 알아보기 전에, 여러분의 프로젝트를 표현하는 커밋 트리\(commit tree\)에서 이동 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들을 아는것이 중요합니다.",
|
||||||
|
"",
|
||||||
|
"여기저기 이동하는 것에 익숙해지면, 여러분이 다른 git 명령어들을 사용하는 능력도 아주 좋아질 것입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ype": "ModalAlert",
|
||||||
|
"options": {
|
||||||
|
"markdowns": [
|
||||||
|
"## HEAD",
|
||||||
|
"",
|
||||||
|
"먼저\"HEAD\"에 대해 이야기해 봅시다. HEAD는 현재 체크아웃된 커밋을 가리킵니다. -- 다시 말하자면 현재 작업중인 커밋입니다.",
|
||||||
|
"",
|
||||||
|
"HEAD는 항상 작업트리의 가장 최근 커밋을 가리킵니다. 작업트리에 변화를 주는 git 명령어들은 대부분 HEAD를 변경하는것으로 시작합니다.",
|
||||||
|
"",
|
||||||
|
"일반적으로 HEAD는 브랜치의 이름을 가리키고있습니다(bugFix와 같이). 커밋을 하게 되면, bugFix의 상태가 바뀌고 이 변경은 HEAD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
|
]
|
||||||
|
}
|
||||||
|
},
|
||||||
|
{
|
||||||
|
"type": "GitDemonstrationView",
|
||||||
|
"options": {
|
||||||
|
"beforeMarkdowns": [
|
||||||
|
"직접 확인해 봅시다. 여기서 우리는 보이지 않던 HEAD를 커밋전, 후에 드러낼 것입니다."
|
||||||
|
],
|
||||||
|
"afterMarkdowns": [
|
||||||
|
"보세요! HEAD가 `master`브랜치 아래에 숨어 있던 거군요."
|
||||||
|
],
|
||||||
|
"command": "git checkout C1; git checkout master; git commit; git checkout C2",
|
||||||
|
"beforeCommand": ""
|
||||||
|
}
|
||||||
|
},
|
||||||
|
{
|
||||||
|
"type": "GitDemonstrationView",
|
||||||
|
"options": {
|
||||||
|
"beforeMarkdowns": [
|
||||||
|
"### HEAD 분리하기",
|
||||||
|
"",
|
||||||
|
"HEAD를 분리한다는 것은 HEAD를 브랜치 대신 커밋에 붙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명령을 사용하기 전의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
|
||||||
|
"HEAD -> master -> C1",
|
||||||
|
""
|
||||||
|
],
|
||||||
|
"afterMarkdowns": [
|
||||||
|
"이제는 이렇게 되는군요",
|
||||||
|
"",
|
||||||
|
"HEAD -> C1"
|
||||||
|
],
|
||||||
|
"command": "git checkout C1",
|
||||||
|
"beforeCommand": ""
|
||||||
|
}
|
||||||
|
},
|
||||||
|
{
|
||||||
|
"type": "ModalAlert",
|
||||||
|
"options": {
|
||||||
|
"markdowns": [
|
||||||
|
"다음 레벨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HEAD를 `bugfix`에서 분리하고 그 커밋에 붙이세요.",
|
||||||
|
"",
|
||||||
|
"각 커밋은 그것의 해시값으로 특정지을수 있습니다. 각 커밋의 해시값은 각 커밋을 나타내는 원안에 나타나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oading…
Add table
Add a link
Reference in a new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