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d remoteBranches.js into Korean

This commit is contained in:
JuhoKang 2015-11-15 00:08:51 +09:00
parent aeaec4f167
commit 37287e7321

View file

@ -11,7 +11,8 @@ exports.level = {
"de_DE": "Branches auf entfernten Servern",
"ja" : "リモートのブランチ",
"fr_FR": "Les branches distantes",
"ru_RU": "Удалённые ветки"
"ru_RU": "Удалённые ветки",
"ko" : "원격 브랜치(remote branch)"
},
"hint": {
"en_US": "Pay attention to the ordering -- commit on master first!",
@ -22,7 +23,8 @@ exports.level = {
"de_DE": "Beachte die Sortierung -- committe zuerst auf dem master!",
"ja" : "順番に注意 -- まずmasterに対してcommitしましょう",
"fr_FR": "Prêtez attention à l'ordre -- les commits sur master d'abord !",
"ru_RU": "Уделяйте внимание очерёдности -- сперва commit на master"
"ru_RU": "Уделяйте внимание очерёдности -- сперва commit на master",
"ko" : "순서에 주의하세요 -- master에서 먼저 커밋하세요!"
},
"startDialog": {
"en_US": {
@ -573,6 +575,67 @@ exports.level = {
}
}
]
},
"ko": {
"childViews": [
{
"type": "ModalAlert",
"options": {
"markdowns": [
"## Git 원격 브랜치",
"",
"이제 `git clone`을 직접 확인 해 보셨습니다. 이제 무엇이 변했는지 살펴 봅시다.",
"",
"가장 먼저 알아차릴만한 변화는 우리의 로컬 저장소에 `o/master`라고하는 새 브랜치가 생긴겁니다. 이런 종류의 브랜치는 _원격_브랜치라고 불립니다; 원격 브랜치는 특정한 목적을 제공하기 때문에 특별한 속성들이 있습니다.",
"",
"원격 브랜치는 원격 저장소의 _상태_를 반영합니다(가장 최근 원격 원격저장소와 작업을 했을때를 기준으로). 원격 브랜치는 로컬에서의 작업과 공개적으로 되고있는 작업의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와줍니다 -- 다른 사람들과 작업을 공유하기전에 반드시해야할 과정이죠.",
"",
"원격 브랜치는 체크 아웃을 하게 되면 분리된 `HEAD` 모드로 가게되는 특별한 속성이 있습니다. Git은 여러분이 이 브랜치들에서 직접 작업할 수 없기 때문에 일부로 이렇게 합니다; 여러분은 다른곳에 작업을 하고 원격 저장소와 여러분의 작업을 공유해야합니다(그 이후에 원격 브랜치가 갱신됩니다)."
]
}
},
{
"type": "ModalAlert",
"options": {
"markdowns": [
"### `o/`가 뭐죠?",
"",
"여러분은 원격 브랜치들 앞에 붙는 `o/`가 뭔지 궁금할 것입니다. 음, 원격 브랜치 또한 (필수적인) 이름짓기 규약이 있습니다 -- 다음의 형식으로 나타납니다:",
"",
"* `<remote name>/<branch name>`",
"",
"이런 이유로, 만약 `o/master`라는 이름의 브랜치를 보게되면, 브랜치의 이름은 `master`이고 원격 저장소의 이름은 `o`인겁니다.",
"",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자신의 주 원격 저장소를 `o`가 아닌 `origin`이라고 짓습니다. 사실 보통 다 이렇게 쓰기 때문에 git은 저장소를 `git clone`하게 되면 원격 저장소의 이름을 `origin`이라고 자동으로 설정해놓습니다.",
"",
"부득이하게도 `origin`이라는 풀네임은 우리 UI에 안 맞아서 `o`로 간략히 표현하겠습니다 :( 진짜 git을 사용하게되면 여러분의 원격저장소가 아마 `origin`이라고 되있다는것을 알아두세요!",
"",
"머리속에 넣기엔 너무 많이 떠든것 같습니다. 직접 확인해 봅시다."
]
}
},
{
"type": "GitDemonstrationView",
"options": {
"beforeMarkdowns": [
"원격 브랜치를 체크아웃하고 무엇이 일어나는지 확인해 봅시다"
],
"afterMarkdowns": [
"보이는것 처럼, git은 우리를 분리된 `HEAD` 모드로 만들고 새로운 커밋을 추가해도 `o/master`를 갱신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o/master`가 원격 저장소가 갱신될때만 갱신되기 때문입니다."
],
"command": "git checkout o/master; git commit",
"beforeCommand": "git clone"
}
},
{
"type": "ModalAlert",
"options": {
"markdowns": [
"다음 레벨로 가기 위해서는 `master`에서 한번 커밋하고 `o/master`를 체크아웃 하고 다시 한번 커밋을 하세요. 이를 통해서 원격 브랜치가 어떻게 다르게 작동하는지 알아보고, 원격 브랜치는 원격 저장소의 상태를 반영하기만 한다는것을 이해해 봅시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