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src/levels/rampup/cherryPick.js b/src/levels/rampup/cherryPick.js index 1c7efe71..7fa5055d 100644 --- a/src/levels/rampup/cherryPick.js +++ b/src/levels/rampup/cherryPick.js @@ -711,7 +711,7 @@ exports.level = { "여기 repository가 있습니다. `main` 으로 복사하고 싶은 작업이 있는 브랜치 `side`가 있습니다. 이것은 rebase를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이미 배운), 하지만 체리-픽이 이 작업을 어떻게 수행하는지 확인해 봅시다." ], "afterMarkdowns": [ - "됬습니다! 우리는 `C2`와 `C4` 커밋을 원했고 git이 우리가 원하는 곳 바로 밑에 톡 떨어뜨려 줬습니다. 아주 간단하죠!" + "됐습니다! 우리는 `C2`와 `C4` 커밋을 원했고 git이 우리가 원하는 곳 바로 밑에 톡 떨어뜨려 줬습니다. 아주 간단하죠!" ], "command": "git cherry-pick C2 C4", "beforeCommand": "git checkout -b side; git commit; git commit; git commit; git checkout main; git commit;" diff --git a/src/levels/rampup/relativeRefs.js b/src/levels/rampup/relativeRefs.js index 3c0e4b23..509fc9b3 100644 --- a/src/levels/rampup/relativeRefs.js +++ b/src/levels/rampup/relativeRefs.js @@ -910,7 +910,7 @@ exports.level = { "main 위에 있는 부모를 체크아웃 해 봅시다." ], "afterMarkdowns": [ - "Boom! 됬습니다. 커밋의 해시를 입력하는 것보다 훨씬 쉬운 방법입니다." + "Boom! 됐습니다. 커밋의 해시를 입력하는 것보다 훨씬 쉬운 방법입니다." ], "command": "git checkout main^", "beforeCommand": "git commit" diff --git a/src/levels/rampup/relativeRefs2.js b/src/levels/rampup/relativeRefs2.js index 440e188d..0c8728be 100644 --- a/src/levels/rampup/relativeRefs2.js +++ b/src/levels/rampup/relativeRefs2.js @@ -836,7 +836,7 @@ exports.level = { "방금의 커맨드를 직접 확인해 봅시다." ], "afterMarkdowns": [ - "됬네요! 우리는 상대 참조를 통해 `C1`을 간결한 방법으로 참조할 수 있었고 브랜치 강제(`-f`)를 통해 브랜치를 저 위치로 빠르게 옮길 수 있었습니다." ], + "됐네요! 우리는 상대 참조를 통해 `C1`을 간결한 방법으로 참조할 수 있었고 브랜치 강제(`-f`)를 통해 브랜치를 저 위치로 빠르게 옮길 수 있었습니다." ], "command": "git branch -f main HEAD~3", "beforeCommand": "git commit; git commit; git commit; git checkout -b bugFix" } diff --git a/src/levels/remote/fakeTeamwork.js b/src/levels/remote/fakeTeamwork.js index ac2fb546..a5daf9ec 100644 --- a/src/levels/remote/fakeTeamwork.js +++ b/src/levels/remote/fakeTeamwork.js @@ -710,7 +710,7 @@ exports.level = { "`fakeTeamwork`의 기본 행동은 원격 main에 간단히 하나의 커밋을 하는것 입니다." ], "afterMarkdowns": [ - "자 됬습니다 -- 원격 저장소에 새로운 커밋이 갱신되었습니다. 아직 `git fetch`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로컬로 내려받아지지는 않았습니다." + "자, 됐습니다 -- 원격 저장소에 새로운 커밋이 갱신되었습니다. 아직 `git fetch`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로컬로 내려받아지지는 않았습니다." ], "command": "git fakeTeamwork", "beforeCommand": "git clone" diff --git a/src/levels/remote/push.js b/src/levels/remote/push.js index 96d9e42b..9017d160 100644 --- a/src/levels/remote/push.js +++ b/src/levels/remote/push.js @@ -575,7 +575,7 @@ exports.level = { "여기 원격저장소에는 없는 변경이 있습니다. 이것들을 업로드 해 봅시다!" ], "afterMarkdowns": [ - "자 됬습니다 -- 원격 저장소가 커밋 `C2`를 받았고,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 `main`가 `C2`라는 지점까지 갱신 되었습니다. 그리고 원격 저장소의 반영인 *우리의* 원격 브랜치 (`o/main`)또한 잘 갱신 되었습니다. 모든게 동기화되어 있습니다!" + "자, 됐습니다 -- 원격 저장소가 커밋 `C2`를 받았고,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 `main`가 `C2`라는 지점까지 갱신 되었습니다. 그리고 원격 저장소의 반영인 *우리의* 원격 브랜치 (`o/main`)또한 잘 갱신 되었습니다. 모든게 동기화되어 있습니다!" ], "command": "git push", "beforeCommand": "git clone; git commit" diff --git a/src/levels/remote/pushArgs.js b/src/levels/remote/pushArgs.js index b7006a60..f81bd4c2 100644 --- a/src/levels/remote/pushArgs.js +++ b/src/levels/remote/pushArgs.js @@ -887,7 +887,7 @@ exports.level = { "인자를 지정해주는 예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해 봅시다. 이 예제에서 우리가 체크아웃한 곳이 어디인지를 주의하며 봅시다." ], "afterMarkdowns": [ - "됬네요! 지정해준 인자들에 의해 원격 저장소의 `main`가 갱신 되었습니다." + "됐네요! 지정해준 인자들에 의해 원격 저장소의 `main`가 갱신 되었습니다." ], "command": "git checkout C0; git push origin main", "beforeCommand": "git clone; git commit" diff --git a/src/levels/remote/sourceNothing.js b/src/levels/remote/sourceNothing.js index 26c68bfe..4f1bea2a 100644 --- a/src/levels/remote/sourceNothing.js +++ b/src/levels/remote/sourceNothing.js @@ -596,7 +596,7 @@ exports.level = { "\"없음\"을 원격 브랜치로 push하면 무엇을 할까요? 원격저장소의 그 브랜치를 삭제합니다!" ], "afterMarkdowns": [ - "됬습니다, 원격 저장소의 `foo`브랜치를 성공적으로 삭제했습니다. \"없음\"을 push한다는것이 이것을 이뤘습니다. 흠 말이 되는것 같네요 null을 push했어요..." + "됐습니다, 원격 저장소의 `foo`브랜치를 성공적으로 삭제했습니다. \"없음\"을 push한다는것이 이것을 이뤘습니다. 흠 말이 되는것 같네요 null을 push했어요..." ], "command": "git push origin :foo", "beforeCommand": "git clone; git push origin main:f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