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ror of
https://github.com/pcottle/learnGitBranching.git
synced 2025-08-17 16:21:06 +02:00
Translated describe.js into Korean
This commit is contained in:
parent
b25137e230
commit
74c4a7a42b
1 changed files with 67 additions and 2 deletions
|
@ -11,7 +11,8 @@ exports.level = {
|
||||||
"pt_BR": "Git Describe",
|
"pt_BR": "Git Describe",
|
||||||
"zh_TW": "git describe",
|
"zh_TW": "git describe",
|
||||||
"zh_CN": "git describe",
|
"zh_CN": "git describe",
|
||||||
"ru_RU": "Git describe"
|
"ru_RU": "Git describe",
|
||||||
|
"ko" : "Git describe(묘사)"
|
||||||
},
|
},
|
||||||
"hint": {
|
"hint": {
|
||||||
"en_US": "Just commit once on bugFix when you're ready to move on",
|
"en_US": "Just commit once on bugFix when you're ready to move on",
|
||||||
|
@ -22,7 +23,8 @@ exports.level = {
|
||||||
"pt_BR": "Simplesmente commite uma vez em bugFix quando quiser parar de experimentar",
|
"pt_BR": "Simplesmente commite uma vez em bugFix quando quiser parar de experimentar",
|
||||||
"zh_TW": "當你要移動的時候,只要在 bugFix 上面 commit 就好了",
|
"zh_TW": "當你要移動的時候,只要在 bugFix 上面 commit 就好了",
|
||||||
"zh_CN": "当你要移动的时候,只要在 bugFix 上面 commit 就好了",
|
"zh_CN": "当你要移动的时候,只要在 bugFix 上面 commit 就好了",
|
||||||
"ru_RU": "Когда закончишь, просто сделай commit"
|
"ru_RU": "Когда закончишь, просто сделай commit",
|
||||||
|
"ko" : "다음으로 넘어가고 싶으면 bugFix를 한번 커밋하면 됩니다."
|
||||||
},
|
},
|
||||||
"startDialog": {
|
"startDialog": {
|
||||||
"en_US": {
|
"en_US": {
|
||||||
|
@ -591,6 +593,69 @@ exports.level = {
|
||||||
}
|
}
|
||||||
}
|
}
|
||||||
]
|
]
|
||||||
|
},
|
||||||
|
"ko": {
|
||||||
|
"childViews": [
|
||||||
|
{
|
||||||
|
"type": "ModalAlert",
|
||||||
|
"options": {
|
||||||
|
"markdowns": [
|
||||||
|
"### Git Describe",
|
||||||
|
"",
|
||||||
|
"커밋 트리에서 태그가 훌륭한 \"닻\"역할을 하기 때문에, git에는 여러분이 가장 가까운 \"닻(태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디에 위치해있는지 *describe(묘사)*해주는 명령어가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git describe` 입니다!",
|
||||||
|
"",
|
||||||
|
"Git describe는 커밋 히스토리에서 앞 뒤로 여러 커밋을 이동하고 나서 커밋 트리에서 방향감각을 다시 찾는데 도움을 줍니다; 이런 상황은 git bisect(문제가 되는 커밋을 찾는 명령어라고 간단히 생각하자)를 하고 나서라던가 휴가를 다녀온 동료의 컴퓨터에 앉는경우가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type": "ModalAlert",
|
||||||
|
"options": {
|
||||||
|
"markdowns": [
|
||||||
|
"Git describe 는 다음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
||||||
|
"",
|
||||||
|
"`git describe <ref>`",
|
||||||
|
"",
|
||||||
|
"`<ref>`에는 commit을 의미하는 그 어떤것이던 쓸 수 있습니다. 만약 ref를 특정 지어주지 않으면, git은 그냥 지금 체크아웃된곳을 사용합니다 (`HEAD`).",
|
||||||
|
"",
|
||||||
|
"명령어의 출력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
||||||
|
"",
|
||||||
|
"`<tag>_<numCommits>_g<hash>`",
|
||||||
|
"",
|
||||||
|
"`tag`는 가장 가까운 부모 태그를 나타냅니다. `numCommits`은 그 태그가 몇 커밋 멀리있는지를 나타냅니다. `<hash>`는 묘사하고있는 커밋의 해시를 나타냅니다."
|
||||||
|
]
|
||||||
|
}
|
||||||
|
},
|
||||||
|
{
|
||||||
|
"type": "GitDemonstrationView",
|
||||||
|
"options": {
|
||||||
|
"beforeMarkdowns": [
|
||||||
|
"간단한 예제를 확인해 봅시다. 아래의 트리에서:"
|
||||||
|
],
|
||||||
|
"afterMarkdowns": [
|
||||||
|
"`git describe master` 명령은 다음을 출력합니다:",
|
||||||
|
"",
|
||||||
|
"`v1_2_gC2`",
|
||||||
|
"",
|
||||||
|
"`git describe side`는 다음을 출력합니다:",
|
||||||
|
"",
|
||||||
|
"`v2_1_gC4`"
|
||||||
|
],
|
||||||
|
"command": "git tag v2 C3",
|
||||||
|
"beforeCommand": "git commit; go -b side HEAD~1; gc; gc; git tag v1 C0"
|
||||||
|
}
|
||||||
|
},
|
||||||
|
{
|
||||||
|
"type": "ModalAlert",
|
||||||
|
"options": {
|
||||||
|
"markdowns": [
|
||||||
|
"이정도면 git describe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레벨의 몇 지점을 describe 명령어를 통해 확인해보면서 느낌을 익혀 봅시다.",
|
||||||
|
"",
|
||||||
|
"준비가 되면 커밋을 한번해서 레벨을 종료하세요. 자유롭게 연습해보세요 :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oading…
Add table
Add a link
Reference in a new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