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src/levels/intro/branching.js b/src/levels/intro/branching.js index d4f6c61e..420a5723 100644 --- a/src/levels/intro/branching.js +++ b/src/levels/intro/branching.js @@ -948,7 +948,7 @@ exports.level = { "브랜치를 서둘러서, 그리고 자주 만드세요", "```", "", - "브랜치를 많이 만들어도 메모리나 디스크 공간에 부담이 되지 않기 때문에, 여러분의 작업을 커다른 브랜치로 만들기 보다, 작은 단위로 잘게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 "브랜치를 많이 만들어도 메모리나 디스크 공간에 부담이 되지 않기 때문에, 여러분의 작업을 커다란 브랜치로 만들기 보다, 작은 단위로 잘게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 "브랜치와 커밋을 같이 쓸 때, 어떻게 두 기능이 조화를 이루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하지만 우선은, 단순히 브랜치를 \"하나의 커밋과 그 부모 커밋들을 포함하는 작업 내역\"이라고 기억하시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