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ror of
https://github.com/pcottle/learnGitBranching.git
synced 2025-07-15 00:54:25 +02:00
Merge pull request #717 from whyalwaysmeyy/fixKorTypo
Improvements of Korean translation
This commit is contained in:
commit
1d46d36a52
8 changed files with 17 additions and 17 deletions
|
@ -139,7 +139,7 @@ exports.dialog = {
|
|||
markdowns: [
|
||||
'## 훌륭합니다!!',
|
||||
'',
|
||||
'*{numCommands}*개의 명렁으로 레벨을 통과했습니다; ',
|
||||
'*{numCommands}*개의 명령으로 레벨을 통과했습니다; ',
|
||||
'모범 답안은 {best}개를 사용합니다.'
|
||||
]
|
||||
}
|
||||
|
|
|
@ -1007,7 +1007,7 @@ exports.level = {
|
|||
"",
|
||||
"몇개의 세대를 돌아갈지 정하는 것 대신(`~`의 기능) `^`수식은 병합이된 커밋에서 어떤 부모를 참조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병합된 커밋들은 다수의 부모를 가지고 있다는것을 기억하시나요? 어떤 부모를 선택할지 예측할 수가 없습니다.",
|
||||
"",
|
||||
"Git은 보통 병합된 커밋에서 \"첫\"부모를 따라갑니다. 하지만 `^`수식을 를 숫자와 함께 사용하면 앞의 디폴트 동작대로가 아닌 다른 결과가 나타납니다.",
|
||||
"Git은 보통 병합된 커밋에서 \"첫\" 부모를 따라갑니다. 하지만 `^`수식을 숫자와 함께 사용하면 앞의 디폴트 동작대로가 아닌 다른 결과가 나타납니다.",
|
||||
"",
|
||||
"이만 줄이고, 직접 확인해봅시다.",
|
||||
""
|
||||
|
|
|
@ -446,7 +446,7 @@ exports.level = {
|
|||
"markdowns": [
|
||||
"## 로컬에 쌓인 커밋들",
|
||||
"",
|
||||
"개발중에 종종 이런 상황이 생깁니다: 잘 띄지 않는 버그를 찾아서 해결하려고, 어떤 부분의 문제인지를 찾기 위해 디버그용 코드와 화면에 정보를 프린트하는 코드 몇 줄 넣습니다. ",
|
||||
"개발 중에 종종 이런 상황이 생깁니다: 눈에 잘 띄지 않는 버그를 찾아서 해결하려고, 어떤 부분의 문제인지를 찾기 위해 디버그용 코드와 화면에 정보를 프린트하는 코드 몇 줄 넣습니다. ",
|
||||
"",
|
||||
"디버깅용 코드나 프린트 명령은 그 브랜치에 들어있습니다. 마침내 버그를 찾아서 고쳤고, 원래 작업하는 브랜치에 합치면 됩니다!",
|
||||
"",
|
||||
|
|
|
@ -677,9 +677,9 @@ exports.level = {
|
|||
"",
|
||||
"지금까지 우리는 git의 기초를 배웠습니다. -- 커밋을하고, 브랜치를 만들고, 소스 트리 여기저기를 돌아다녔습니다. 이런 개념들을 아는 것만으로도 git repository의 힘을 90%이상 사용하고 개발자들이 필요로하는 작업의 대부분을 할 수 있습니다.",
|
||||
"",
|
||||
"그 나머지 10% 기능이, 복잡한 작업(또는 작업중 막혔을때)중에 꽤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 배워 볼 다음 개념은 \"작업을 여기저로 올기기\" 다시 말해, 개발자들의 언어로 \"이 일은 여기에 저 일은 저기에 두고 싶어\" 정확하고 우아하고 유연하게.",
|
||||
"그 나머지 10% 기능이, 복잡한 작업(또는 작업중 막혔을때) 중에 꽤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 배워 볼 다음 개념은 \"작업을 여기저로 옮기기\" 다시 말해, 개발자들의 언어로 \"이 일은 여기에, 저 일은 저기에 두고 싶어\" 정확하고 우아하고 유연하게.",
|
||||
"",
|
||||
"다소 과해 보일 수 있는데, 간단한 개념입니다."
|
||||
"다소 과해 보일 수 있지만, 간단한 개념입니다."
|
||||
]
|
||||
}
|
||||
},
|
||||
|
|
|
@ -670,15 +670,15 @@ exports.level = {
|
|||
"markdowns": [
|
||||
"## Git Remote(원격)",
|
||||
"",
|
||||
"원격 저장소라는것이 사실 그다지 복잡한 개념은 아닙니다. 오늘날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떠올리면 git remote의 이면에 수많은 마법이 부려지고 있을것 같지만, 사실 git remote 또 하나의 컴퓨터에 있는 여러분의 저장소의 복사본일 뿐입니다. 여러분은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해서 이 또 하나의 컴퓨터와 커밋을 주고 받는등 대화를 할 수 있습니다.",
|
||||
"원격 저장소라는 것이 사실 그다지 복잡한 개념은 아닙니다. 오늘날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떠올리면 git remote의 이면에 수많은 마법이 부려지고 있을 것 같지만, 사실 git remote 또 하나의 컴퓨터에 있는 여러분의 저장소의 복사본일 뿐입니다. 여러분은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해서 이 또 하나의 컴퓨터와 커밋을 주고받는 등의 대화를 할 수 있습니다.",
|
||||
"",
|
||||
"소개한김에 자랑까지 하자면 원격 저장소는 수많은 장점들이 있습니다:",
|
||||
"소개한 김에 자랑까지 하자면 원격 저장소는 수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
||||
"",
|
||||
"- 무엇보다 먼저, 원격 저장소는 백업으로서의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합니다! 로컬 git 저장소는 파일들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아시다시피). 하지만 그 모든 정보가 로컬(내PC)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여러분의 git 저장소를 다른 컴퓨터에 복사본을 가지고있으면 로컬 데이터를 다 잃더라도 다른 컴퓨터에 남아있는 복사본으로 다시 출발 할 수 있습니다.",
|
||||
"- 무엇보다 먼저, 원격 저장소는 백업으로서의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합니다! 로컬 git 저장소는 파일들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아시다시피). 하지만 그 모든 정보가 로컬(내 PC)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여러분의 git 저장소를 다른 컴퓨터가 복사본으로 가지고 있으면 로컬 데이터를 다 잃더라도 다른 컴퓨터에 남아있는 복사본으로 다시 출발 할 수 있습니다.",
|
||||
"",
|
||||
"- 더 중요한 것은, 원격 저장소를 통해 코딩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프로젝트의 복사본이 어느 곳에선가 호스트되기 때문에 여러분의 친구가 프로젝트에 아주 쉽게 기여할 수 있게 됩니다(최근의 변화를 pull하거나).",
|
||||
"",
|
||||
"원격 저장소에서의 활동을 시각화해주는 웹 사이트들을 사용하는것이 추세입니다 ([GitHub](https://github.com/) 또는 [Phabricator](http://phabricator.org/)등이 있습니다). 원격 저장소가 _항상_ 이러한 도구들의 중심 뼈대를 이루고있습니다. 그래서 잘 아는것이 중요해요!"
|
||||
"원격 저장소에서의 활동을 시각화해주는 웹 사이트들을 사용하는 것이 추세입니다. ([GitHub](https://github.com/) 또는 [Phabricator](http://phabricator.org/)등이 있습니다). 원격 저장소가 _항상_ 이러한 도구들의 중심 뼈대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래서 잘 아는 것이 중요해요!"
|
||||
]
|
||||
}
|
||||
},
|
||||
|
@ -688,7 +688,7 @@ exports.level = {
|
|||
"markdowns": [
|
||||
"## 원격 저장소를 생성하는 명령어",
|
||||
"",
|
||||
"지금까지, Git 브랜치 배우기는 _로컬_ 저장소가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소개해 왔습니다(브랜치, 합병, 리베이스 등등). 이제 원격 저장소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배워보려고 합니다. 앞으로 이어질 레슨의 환경을 마련할 명령어가 필요합니다. `git clone`가 바로 그 명령어 입니다.",
|
||||
"지금까지, Git 브랜치 배우기는 _로컬_ 저장소가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소개해 왔습니다(브랜치, 합병, 리베이스 등등). 이제 원격 저장소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배워보려고 합니다. 앞으로 이어질 레슨의 환경을 마련할 명령어가 필요합니다. `git clone`이 바로 그 명령어입니다.",
|
||||
"",
|
||||
"실제로 `git clone`은 원격 저장소의 복사본을 _로컬_에 생성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github에서 가져올 때라던가). Git 브랜치 배우기에서는 이 명령어를 살짝 다르게 사용합니다 -- `git clone`이 당신의 로컬 저장소에서 원격 저장소를 생성해냅니다. 물론 실제 명령어와 반대로 작동하는 것이지만 클론과 원격 저장소 사이의 연결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되서 이렇게 했습니다. 일단은 그냥 해봅시다.",
|
||||
""
|
||||
|
|
Loading…
Add table
Add a link
Reference in a new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