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rge pull request #717 from whyalwaysmeyy/fixKorTypo

Improvements of Korean translation
This commit is contained in:
Peter Cottle 2020-06-30 14:47:23 -07:00 committed by GitHub
commit 1d46d36a52
No known key found for this signature in database
GPG key ID: 4AEE18F83AFDEB23
8 changed files with 17 additions and 17 deletions

View file

@ -139,7 +139,7 @@ exports.dialog = {
markdowns: [ markdowns: [
'## 훌륭합니다!!', '## 훌륭합니다!!',
'', '',
'*{numCommands}*개의 명으로 레벨을 통과했습니다; ', '*{numCommands}*개의 명으로 레벨을 통과했습니다; ',
'모범 답안은 {best}개를 사용합니다.' '모범 답안은 {best}개를 사용합니다.'
] ]
} }

View file

@ -1007,7 +1007,7 @@ exports.level = {
"", "",
"몇개의 세대를 돌아갈지 정하는 것 대신(`~`의 기능) `^`수식은 병합이된 커밋에서 어떤 부모를 참조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병합된 커밋들은 다수의 부모를 가지고 있다는것을 기억하시나요? 어떤 부모를 선택할지 예측할 수가 없습니다.", "몇개의 세대를 돌아갈지 정하는 것 대신(`~`의 기능) `^`수식은 병합이된 커밋에서 어떤 부모를 참조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병합된 커밋들은 다수의 부모를 가지고 있다는것을 기억하시나요? 어떤 부모를 선택할지 예측할 수가 없습니다.",
"", "",
"Git은 보통 병합된 커밋에서 \"첫\"부모를 따라갑니다. 하지만 `^`수식을 숫자와 함께 사용하면 앞의 디폴트 동작대로가 아닌 다른 결과가 나타납니다.", "Git은 보통 병합된 커밋에서 \"첫\" 부모를 따라갑니다. 하지만 `^`수식을 숫자와 함께 사용하면 앞의 디폴트 동작대로가 아닌 다른 결과가 나타납니다.",
"", "",
"이만 줄이고, 직접 확인해봅시다.", "이만 줄이고, 직접 확인해봅시다.",
"" ""

View file

@ -14,7 +14,7 @@ exports.level = {
"solutionCommand": "git rebase -i master --solution-ordering C4; git rebase bugFix master", "solutionCommand": "git rebase -i master --solution-ordering C4; git rebase bugFix master",
"startTree": "{\"branches\":{\"master\":{\"target\":\"C1\",\"id\":\"master\"},\"debug\":{\"target\":\"C2\",\"id\":\"debug\"},\"printf\":{\"target\":\"C3\",\"id\":\"printf\"},\"bugFix\":{\"target\":\"C4\",\"id\":\"bugFix\"}},\"commits\":{\"C0\":{\"parents\":[],\"id\":\"C0\",\"rootCommit\":true},\"C1\":{\"parents\":[\"C0\"],\"id\":\"C1\"},\"C2\":{\"parents\":[\"C1\"],\"id\":\"C2\"},\"C3\":{\"parents\":[\"C2\"],\"id\":\"C3\"},\"C4\":{\"parents\":[\"C3\"],\"id\":\"C4\"}},\"HEAD\":{\"target\":\"bugFix\",\"id\":\"HEAD\"}}", "startTree": "{\"branches\":{\"master\":{\"target\":\"C1\",\"id\":\"master\"},\"debug\":{\"target\":\"C2\",\"id\":\"debug\"},\"printf\":{\"target\":\"C3\",\"id\":\"printf\"},\"bugFix\":{\"target\":\"C4\",\"id\":\"bugFix\"}},\"commits\":{\"C0\":{\"parents\":[],\"id\":\"C0\",\"rootCommit\":true},\"C1\":{\"parents\":[\"C0\"],\"id\":\"C1\"},\"C2\":{\"parents\":[\"C1\"],\"id\":\"C2\"},\"C3\":{\"parents\":[\"C2\"],\"id\":\"C3\"},\"C4\":{\"parents\":[\"C3\"],\"id\":\"C4\"}},\"HEAD\":{\"target\":\"bugFix\",\"id\":\"HEAD\"}}",
"name": { "name": {
"ko": "딱 한개의 커밋만 가져오기", "ko": "딱 한 개의 커밋만 가져오기",
"en_US": "Grabbing Just 1 Commit", "en_US": "Grabbing Just 1 Commit",
"fr_FR": "Choisir seulement 1 commit", "fr_FR": "Choisir seulement 1 commit",
"de_DE": "Einen Commit pflücken", "de_DE": "Einen Commit pflücken",
@ -446,7 +446,7 @@ exports.level = {
"markdowns": [ "markdowns": [
"## 로컬에 쌓인 커밋들", "## 로컬에 쌓인 커밋들",
"", "",
"개발중에 종종 이런 상황이 생깁니다: 잘 띄지 않는 버그를 찾아서 해결하려고, 어떤 부분의 문제인지를 찾기 위해 디버그용 코드와 화면에 정보를 프린트하는 코드 몇 줄 넣습니다. ", "개발 중에 종종 이런 상황이 생깁니다: 눈에 잘 띄지 않는 버그를 찾아서 해결하려고, 어떤 부분의 문제인지를 찾기 위해 디버그용 코드와 화면에 정보를 프린트하는 코드 몇 줄 넣습니다. ",
"", "",
"디버깅용 코드나 프린트 명령은 그 브랜치에 들어있습니다. 마침내 버그를 찾아서 고쳤고, 원래 작업하는 브랜치에 합치면 됩니다!", "디버깅용 코드나 프린트 명령은 그 브랜치에 들어있습니다. 마침내 버그를 찾아서 고쳤고, 원래 작업하는 브랜치에 합치면 됩니다!",
"", "",

View file

@ -406,7 +406,7 @@ exports.level = {
"", "",
"이번에도 꽤 자주 발생하는 상황입니다. `newImage`와 `caption` 브랜치에 각각의 변경내역이 있고 서로 약간 관련이 있어서, 저장소에 차례로 쌓여있는 상황입니다.", "이번에도 꽤 자주 발생하는 상황입니다. `newImage`와 `caption` 브랜치에 각각의 변경내역이 있고 서로 약간 관련이 있어서, 저장소에 차례로 쌓여있는 상황입니다.",
"", "",
"때로는 이전 커밋의 내용을 살짝 바꿔야하는 골치아픈 상황에 빠지게 됩니다. 이번에는 디자인 쪽에서 우리의 작업이력(history)에서는 이미 한참 전의 커밋 내용에 있는 `newImage`의 크기를 살짝 바꿔달라는 요청이 들어왔습니다." "때로는 이전 커밋의 내용을 살짝 바꿔야하는 골치아픈 상황에 빠지게 됩니다. 이번에는 디자인 쪽에서 우리의 작업이력(history)에서는 이미 한참 전의 커밋 내용에 있는 `newImage`의 크기를 살짝 바꿔 달라는 요청이 들어왔습니다."
] ]
} }
}, },

View file

@ -617,7 +617,7 @@ exports.level = {
"markdowns": [ "markdowns": [
"## Git 태그", "## Git 태그",
"", "",
"이전 강의에서 배웠듯이, 브랜치는 이동하기 쉽습니다. 작업의 완료, 진행에따라 이리저리 이동하면서 서로다른 커밋을 참조하게 됩니다. 브랜치는 쉽게 변하며 임시적인 것입니다 항상 바뀌고 있죠.", "이전 강의에서 배웠듯이, 브랜치는 이동하기 쉽습니다. 작업의 완료, 진행에 따라 이리저리 이동하면서 서로 다른 커밋을 참조하게 됩니다. 브랜치는 쉽게 변하며 임시적인 것입니다 항상 바뀌고 있죠.",
"", "",
"이런 상황에서, 여러분은 여러분의 프로젝트의 역사(작업 이력)에서 중요한 지점들에 *영구적으로* 표시를 할 방법이 없을까 궁금할것입니다. 주요 릴리즈나 큰 브랜치 병합(merge)이 있을때가 그런 상황이겠군요. 이런 상황에 커밋들을 표시할 브랜치보다 영구적인 방법이 있을까요?", "이런 상황에서, 여러분은 여러분의 프로젝트의 역사(작업 이력)에서 중요한 지점들에 *영구적으로* 표시를 할 방법이 없을까 궁금할것입니다. 주요 릴리즈나 큰 브랜치 병합(merge)이 있을때가 그런 상황이겠군요. 이런 상황에 커밋들을 표시할 브랜치보다 영구적인 방법이 있을까요?",
"" ""

View file

@ -677,9 +677,9 @@ exports.level = {
"", "",
"지금까지 우리는 git의 기초를 배웠습니다. -- 커밋을하고, 브랜치를 만들고, 소스 트리 여기저기를 돌아다녔습니다. 이런 개념들을 아는 것만으로도 git repository의 힘을 90%이상 사용하고 개발자들이 필요로하는 작업의 대부분을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git의 기초를 배웠습니다. -- 커밋을하고, 브랜치를 만들고, 소스 트리 여기저기를 돌아다녔습니다. 이런 개념들을 아는 것만으로도 git repository의 힘을 90%이상 사용하고 개발자들이 필요로하는 작업의 대부분을 할 수 있습니다.",
"", "",
"그 나머지 10% 기능이, 복잡한 작업(또는 작업중 막혔을때)중에 꽤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 배워 볼 다음 개념은 \"작업을 여기저로 기기\" 다시 말해, 개발자들의 언어로 \"이 일은 여기에 저 일은 저기에 두고 싶어\" 정확하고 우아하고 유연하게.", "그 나머지 10% 기능이, 복잡한 작업(또는 작업중 막혔을때) 중에 꽤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 배워 볼 다음 개념은 \"작업을 여기저로 기기\" 다시 말해, 개발자들의 언어로 \"이 일은 여기에, 저 일은 저기에 두고 싶어\" 정확하고 우아하고 유연하게.",
"", "",
"다소 과해 보일 수 있는데, 간단한 개념입니다." "다소 과해 보일 수 있지만, 간단한 개념입니다."
] ]
} }
}, },

View file

@ -780,7 +780,7 @@ exports.level = {
"", "",
"이 옵션을 추가하면, git은 리베이스의 목적지가 되는 곳 아래에 복사될 커밋들을 보여주는 UI를 띄울것 입니다. 각 커밋을 구분할 수 있는 각각의 해시들과 메시지도 보여줍니다.", "이 옵션을 추가하면, git은 리베이스의 목적지가 되는 곳 아래에 복사될 커밋들을 보여주는 UI를 띄울것 입니다. 각 커밋을 구분할 수 있는 각각의 해시들과 메시지도 보여줍니다.",
"", "",
"\"실제\"git 에서는 UI창을 띄우는것 대신에 `vim`과 같은 텍스트 편집기에서 파일을 엽니다. 저희는 배우는것이 목적이기에 같은 역할을 하는 작은 대화창을 만들어서 대신했습니다." "\"실제\" git 에서는 UI창을 띄우는것 대신에 `vim`과 같은 텍스트 편집기에서 파일을 엽니다. 저희는 배우는 것이 목적이기에 같은 역할을 하는 작은 대화창을 만들어서 대신했습니다."
] ]
} }
}, },
@ -802,7 +802,7 @@ exports.level = {
"type": "GitDemonstrationView", "type": "GitDemonstrationView",
"options": { "options": {
"beforeMarkdowns": [ "beforeMarkdowns": [
"버튼을 누르면 인터렉티브 리베이스 대화창이 뜰것 입니다. 커밋들의 순서를 바꿔보고(커밋을 빼 봐도 됩니다) 결과를 확인해봅시다!" "버튼을 누르면 인터렉티브 리베이스 대화창이 뜰 것 입니다. 커밋들의 순서를 바꿔보고(커밋을 빼 봐도 됩니다) 결과를 확인해봅시다!"
], ],
"afterMarkdowns": [ "afterMarkdowns": [
"Boom! Git이 UI를 통해 명시한 그대로 커밋들을 복사했습니다." "Boom! Git이 UI를 통해 명시한 그대로 커밋들을 복사했습니다."

View file

@ -670,15 +670,15 @@ exports.level = {
"markdowns": [ "markdowns": [
"## Git Remote(원격)", "## Git Remote(원격)",
"", "",
"원격 저장소라는것이 사실 그다지 복잡한 개념은 아닙니다. 오늘날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떠올리면 git remote의 이면에 수많은 마법이 부려지고 있을것 같지만, 사실 git remote 또 하나의 컴퓨터에 있는 여러분의 저장소의 복사본일 뿐입니다. 여러분은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해서 이 또 하나의 컴퓨터와 커밋을 주고 받는등 대화를 할 수 있습니다.", "원격 저장소라는 것이 사실 그다지 복잡한 개념은 아닙니다. 오늘날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떠올리면 git remote의 이면에 수많은 마법이 부려지고 있을 것 같지만, 사실 git remote 또 하나의 컴퓨터에 있는 여러분의 저장소의 복사본일 뿐입니다. 여러분은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해서 이 또 하나의 컴퓨터와 커밋을 주고받는 등의 대화를 할 수 있습니다.",
"", "",
"소개한김에 자랑까지 하자면 원격 저장소는 수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소개한 김에 자랑까지 하자면 원격 저장소는 수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 "",
"- 무엇보다 먼저, 원격 저장소는 백업으로서의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합니다! 로컬 git 저장소는 파일들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아시다시피). 하지만 그 모든 정보가 로컬(내PC)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여러분의 git 저장소를 다른 컴퓨터에 복사본을 가지고있으면 로컬 데이터를 다 잃더라도 다른 컴퓨터에 남아있는 복사본으로 다시 출발 할 수 있습니다.", "- 무엇보다 먼저, 원격 저장소는 백업으로서의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합니다! 로컬 git 저장소는 파일들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아시다시피). 하지만 그 모든 정보가 로컬(내 PC)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여러분의 git 저장소를 다른 컴퓨터가 복사본으로 가지고 있으면 로컬 데이터를 다 잃더라도 다른 컴퓨터에 남아있는 복사본으로 다시 출발 할 수 있습니다.",
"", "",
"- 더 중요한 것은, 원격 저장소를 통해 코딩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다는것입니다. 여러분의 프로젝트의 복사본이 어느곳에선가 호스트되기때문에 여러분의 친구가 프로젝트에 아주 쉽게 기여할 수 있게됩니다(최근의 변화를 pull하거나).", "- 더 중요한 것은, 원격 저장소를 통해 코딩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프로젝트의 복사본이 어느 곳에선가 호스트되기 때문에 여러분의 친구가 프로젝트에 아주 쉽게 기여할 수 있게 됩니다(최근의 변화를 pull하거나).",
"", "",
"원격 저장소에서의 활동을 시각화해주는 웹 사이트들을 사용하는것이 추세입니다 ([GitHub](https://github.com/) 또는 [Phabricator](http://phabricator.org/)등이 있습니다). 원격 저장소가 _항상_ 이러한 도구들의 중심 뼈대를 이루고있습니다. 그래서 잘 아는것이 중요해요!" "원격 저장소에서의 활동을 시각화해주는 웹 사이트들을 사용하는 것이 추세입니다. ([GitHub](https://github.com/) 또는 [Phabricator](http://phabricator.org/)등이 있습니다). 원격 저장소가 _항상_ 이러한 도구들의 중심 뼈대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래서 잘 아는 것이 중요해요!"
] ]
} }
}, },
@ -688,9 +688,9 @@ exports.level = {
"markdowns": [ "markdowns": [
"## 원격 저장소를 생성하는 명령어", "## 원격 저장소를 생성하는 명령어",
"", "",
"지금까지, Git 브랜치 배우기는 _로컬_ 저장소가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소개해 왔습니다(브랜치, 합병, 리베이스 등등). 이제 원격 저장소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배워보려고 합니다. 앞으로 이어질 레슨의 환경을 마련할 명령어가 필요합니다. `git clone`가 바로 그 명령어 입니다.", "지금까지, Git 브랜치 배우기는 _로컬_ 저장소가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소개해 왔습니다(브랜치, 합병, 리베이스 등등). 이제 원격 저장소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배워보려고 합니다. 앞으로 이어질 레슨의 환경을 마련할 명령어가 필요합니다. `git clone`이 바로 그 명령어입니다.",
"", "",
"실제로 `git clone`은 원격 저장소의 복사본을 _로컬_에 생성할때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github에서 가져올때 라던가). Git 브랜치 배우기에서는 이 명령어를 살짝 다르게 사용합니다 -- `git clone`이 당신의 로컬 저장소에서 원격 저장소를 생성해냅니다. 물론 실제 명령어와 반대로 작동하는 것이지만 클론과 원격 저장소 사이의 연결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되서 이렇게 했습니다. 일단은 그냥 해봅시다.", "실제로 `git clone`은 원격 저장소의 복사본을 _로컬_에 생성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github에서 가져올 때라던가). Git 브랜치 배우기에서는 이 명령어를 살짝 다르게 사용합니다 -- `git clone`이 당신의 로컬 저장소에서 원격 저장소를 생성해냅니다. 물론 실제 명령어와 반대로 작동하는 것이지만 클론과 원격 저장소 사이의 연결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되서 이렇게 했습니다. 일단은 그냥 해봅시다.",
"" ""
] ]
} }